• 인천산부인과, 자궁근종 진단 후 '수술'은 어떤 경우에?
  • 2025-03-21 hit.16



제공자

오욱진 산부인과 전문의








" 생리량 늘고 골반통이 있다면? 자궁근종 의심해 봐야~ "

​

최근 들어, 과거와 달리

생리량이 과도하게 늘었거나

골반 통증, 압박감 등이 있다면

'자궁근종'을 의심하고

산부인과에 내원하시어

정확한 진단을 위한 진료과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자궁근종은, 가임기 여성 3명 중 1명이

겪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지만

보통,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자궁근종이란?


​

자궁근종은, 자궁을 대부분 이루고 있는

평활근에 생기는 양성종양을 이야기합니다.


자궁근종이 발생되는 위치에 따라

▲ 장막하 근종

▲ 점막하 근종

▲ 근층내 근종

으로 구분하며, 위치에 따라

개인별로 발생되는 증상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 자궁근종 진단 수술을 해야 하는 건 아닌지... 덜컥 겁부터 났다면? "

​


정확히 알고 계셔야 하는 부분이

자궁근종 진단을 받았다면

개인별 상태 및 상황에 따라서

치료방법을 결정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치료방법은 크게

비수술 치료와 수술치료로 구분합니다.


대표적인 비수술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궁근종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수술을 권하는 것이 아닙니다.


개인에 상태에 따라서 차이는 있겠지만

보통,

▲ 환자의 상태

▲ 환자의 연령

▲ 폐경 여부

▲ 임신 계획 여부


그리고, 환자의 선호도까지...

충분히 고려하여 치료방법을 선택하고


대부분은, 증상이 크게 없기 때문에

추척관찰 후, 치료방법을 결정하게 됩니다.

​




자궁근종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우선, 수술적 방법으로는

▲ 자궁절제술

▲ 근종적출술 이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상태와, 자궁보존 여부를 고려해야 합니다.

​




□ 근종이 지속적으로 커져, 통증과 압박감이 커질 경우

□ 크기가 갑자기 빠르게 커지는 경우

​



*보통, 추척관찰 및 약물치료를 통해

자궁근종을 치료할 수 있지만

전문의 진단에 따라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신중히,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보시길 바랍니다.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