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객서비스
  • W여성병원에서 좋은 소식을 전해드려요.

2030 무월경 여성증가 그 원인은 무엇일까?

2025-10-17 hit.40



​


안녕하세요. 국민건강보험공단

(무월경·소량 및 희발월경)으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매년, 2030세대의 비중이 늘고 있습니다.


규칙적인 월경은

여성의 건강 상태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무월경 또는 소량 및 희발월경 증상을

보인다면, 반드시 산부인과전문의

진료를 받는 것이 우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무월경증이란?

진료과 : 산부인과

​




정상적인 월경은,

뇌(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로 연결되는

호르몬 분비가 자궁에 작용하여 발생되는

생리적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이 중 어느 하나라도

구조나 기능의 이상이 발생되면

'무월경'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신을 이유로 한 '무월경'이 아니라면

각종 자궁 및 난소질환을 의심해 봐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한, 산부인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무월경, 다 같지 않습니다.

진료과 : 산부인과





무월경은, 첫 월경(초경)이 있었는지에 따라

▲원발성 무월경 ▲속발성 무월경으로 나누어집니다.


원발성무월경이란, 초경이 없는 경우입니다.

속발성무월경은 월경을 하던 여성에게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월경주기는 외부환경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한 주기 정도 월경이 없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오랫동안 월경이 없다면, 건강 이상의 첫 징후일 수 있습니다.





무월경증 종류에 따라 원인이 다릅니다.​

​



무월경증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를 통한 정확한 진단 과정에서

원발성과 속발성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원인을 찾는 것이

앞으로의 치료 방향을 계획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



1. 원발성 무월경 원인은?​



*원발성무월경은, 초경을 해야 할 연령임에도

불구하고, 초경이 없는 경우를 이야기합니다.


▲ 난소기능 부전증

▲ 시상하부 - 뇌하수체 기능부전

▲ 자궁 및 질의 구조적 이상





2. 속발성 무월경 원인은?​





속발성무월경 역시, 발생 원인은 다양하지만

보통 (임신 / 수유 / 폐경)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그 밖의 원인은 전체 무월경환자의 3~4% 수준입니다.


이중, 흔한 원인을 찾아보면

▲다낭성난소증후군

▲시상하부 이상에 의한 무월경

▲ 난소기능 부전증

등이 있습니다.


속발성무월경의 경우,

환자분의 병력청취와 검사를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월경증

2030에서 급증하는 이유는?

​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2030세대의 무월경증 증가 원인으로

▲스트레스

▲다이어트

를 꼽을 수 있습니다.


비교적 젊은 2030대는

시험이나 직장 내 업무 스트레스

잘못된 방식의 극단적 체중 감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상하부 장애가

나타날 수 있고, 이로 인해

무월경증 발생 확률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월경증은

여성 건강의 '적신호'입니다.



무월경증은 여성 건강의 적신호입니다.

무월경증으로 인해 호르몬 불균형을 초래하여

다양한 여성질환 발병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2030세대, 가임기 여성의 경우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난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